mofa eNewsMaker 뉴스레터스킨01
 
   
  [제199호] 2008년 1월 25일 메인으로 | 전체기사 | 지난호 | 외교통상부  

 
트위터 페이스북
한-GCC FTA 공청회 개최 결과

- 에너지자원 확보 및 건설ㆍ플랜트 시장 진출에 유리 -

한-GCC FTA 공청회가 지난 1월 22일 무역센터에서 개최되었습니다.
 
GCC(Gulf Cooperation Council, 걸프협력회의)는 사우디, 쿠웨이트, 아랍에미레트연합(UAE), 바레인, 오만, 카타르 등 6개국간 체결된 관세동맹 형태의 경제협력체로, 한국과 GCC는 지난 2007년 3월 노무현 대통령의 중동 방문시 양자간 FTA의 추진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이에 따라 지난해 11월 양측 실무자간 FTA 사전협의를 개최한 바 있습니다.

이번 공청회는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절차규정’에 의거, 한-GCC간 FTA 협상 출범에 앞서 국내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절차로서 한-GCC간 FTA 체결시 경제적 효과 및 향후 협상 추진시 분야별 고려사항 등에 대한 논의와 함께 업계 등 관련인사의 의견 청취 등으로 진행되었습니다.

GCC는 2006년 기준 우리의 제5위 교역상대국으로 수출이 77.8억불(8위 수출국), 수입이 540.7억불(1위 수입국)에 달하며, 수입액 중 원유 및 석유제품의 비중은 98%로 527.4억불에 달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원유 수입의 67%, LNG 수입의 48%를 GCC로부터 수입)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연구용역 결과에 따르면, 한-GCC간 FTA 체결시 수출은 2.6억불(4.9%), 수입은 7.0억불(2.4%)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현재 EU, 일본, 중국, 호주 등이 GCC와의 FTA를 활발하게 추진 중인바, GCC 시장에서 우리 제품의 경쟁력 약화를 방지하고 에너지 자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한편, 최대 건설·플랜트 수주시장 진출 확대, 막대한 오일달러의 국내투자 유도 등을 위해서도 GCC와의 조속한 FTA 체결이 긴요한 실정입니다.

정부는 이번 공청회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대외경제장관회의에서 한-GCC FTA의 추진 여부를 최종 결정할 예정입니다.



[2008-01-24, 17:39:22]

트위터 페이스북
   
 

유용한 정보가 되었습니까? [평균30점/0명 ]
받으시는 메일서비스에 대한 의견 부탁드립니다.
  메인으로 | 전체기사 | 지난호 | 외교통상부  
본 이메일서비스는 이메일주소가 무단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개인정보를 수정하시려면 내정보수정하기를, 메일 수신을 원치 않으시면 수신설정을 해주십시오.

서울시 종로구 세종로 37 외교통상부 대변인실 정책홍보담당관실 전화:02.2100.0801, 팩스:02.2100.7913
Copyright ⓒ 2007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All rights Reserved.